윈도 필수 프로그램 패키지를 아십니까?
기본적으로 윈도 8.1에는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들이라면 꼭 필요한 패키지 프로그램 들이 있습니다.
원도 라이브 라이터와 스카이드라이브 입니다.
정품이용자 들에게 무료로 제공을 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은근히 편리한 기능 등이 있습니다.
필수 프로그램 다운로드 주소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live/essentials-other#essentials=overviewother
저는 쿨하게 메일과 메시저는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1. 오픈 API 블로그 포스팅을 하자- Windows Live Writer
블로그를 설정하고, 블로그 게시물을 작성하고, 블로그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보세요. Writer는 WordPress, Blogger, TypePad 등 인기 있는 블로그 서비스 공급자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 Live Writer 여러 블로그를 한번에 관리 및 퍼블리싱하자
이미 블로그 계정이 있으면 블로그 계정 추가를 클릭하고 단계에 따라 Writer에서 블로그를 설정이 가능합니다.
간편하게 블로그를 추가할 수 있으며 티스토리에 기본 블로그 API로 추천되는 블로그 에디터입니다.
물론 블로그의 자체에디터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 편할 지 모르지만 블로그 관리 및 퍼브리싱 프로그램을 쓰시면 더욱 파워풀하게 블로그 관리가 가능합니다.
스카이드라이브에 올린 이미지를 바로 넣을 수 있습니다.
원노트가 없을 경우 상당히 유용합니다.
언제 어디서나 파일에 액세스하기 스카이드라이브
원도 8의 최고의 장점 중 하나는 스카이드라이브 입니다. 원도 8.1에서는 보안문제인지 기능이 약간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윈도 유저의 특성상 업그레이드를 빠르게 하지 않기 때문에 원도 8을 쓰신다면 최고의 클라우드 서비스일 것입니다.
마이크로 오피스 2013 + 스카이드라이브의 조합은 제가 써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중에서는 가장 빠른 서비스입니다.
스카이드라이브는!
Windows 8.1(윈도우 8.1)과 Windows RT 8.1(윈도우 RT 8.1)에서는 간편하게 파일을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하고 PC, 태블릿, 휴대폰 등 모든 장치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SkyDrive - SkyDrive
http://windows.microsoft.com/ko-kr/skydrive/download
화면 캡처: 2013-11-01 오후 6:01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는 Microsoft 계정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무료 클라우드 저장소입니다. 갖고 있는 모든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추가 하드 드라이브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저장하는 모든 파일에 언제든지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자신에게 메일을 보내거나 플래시 드라이브로 파일을 보내다가 파일이 손상될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습니다. 노트북으로 프레젠테이션 작업을 하고, 새 태블릿으로 지난 휴가에 가족과 함께 찍은 사진을 보고, 휴대폰으로 쇼핑 목록을 확인하는 등 무엇을 하든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의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를 시작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PC에 있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PC에서 이동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새 파일을 저장할 때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하도록 선택하면 아무 장치에서나 파일에 액세스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PC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면 카메라 앨범의 사진 복사본을 자동으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하도록 설정하여 항상 백업할 수 있습니다.
SkyDrive에 파일 추가하기
기존 파일을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추가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PC에 원본 파일을 보관하고 복사본을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추가할 것인지 아니면 PC의 원본을 잘라내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로 이동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SkyDrive 앱을 사용하여 SkyDrive에 파일 복사하기
1단계
시작 화면에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를 탭하거나 클릭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 앱을 엽니다.
2단계
폴더를 탭하거나 클릭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서 파일을 추가할 위치로 이동합니다.
3단계
화면의 맨 위 또는 맨 아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살짝 밀거나 오른쪽 클릭하여 앱 명령을 연 다음 파일 추가를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4단계
업로드하고자 하는 파일을 검색하여 찾은 다음 탭하거나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하고 SkyDrive에 복사 를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SkyDrive 앱을 사용하여 SkyDrive로 파일 이동하기
PC에 있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PC에서 이동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SkyDrive 옆에 있는 화살표를 탭하거나 클릭하고 내 PC를 선택합니다.
- 이동하려는 파일을 찾은 다음 파일을 아래로 살짝 밀거나 오른쪽 클릭하여 파일을 선택합니다.
- 잘라내기를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 이 PC 옆에 있는 화살표를 탭하거나 클릭하고 SkyDrive를 선택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의 폴더로 이동합니다.
- 화면의 맨 위 또는 맨 아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살짝 밀거나 오른쪽 클릭하여 앱 명령을 연 다음 붙여넣기를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여 SkyDrive로 파일 이동하기
PC에 있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PC에서 이동하여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파일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창의 파일 목록에 있는 파일을 왼쪽 창의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로 끌어다 놓습니다.
앱에서 파일을 SkyDrive에 저장하기
앱에서 바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할 것인지 PC를 포함한 다른 위치에 저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직 저장 위치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왼쪽 위에 있는 화살표를 클릭하여 저장 위치를 SkyDrive로 변경합니다.
그런 다음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입력한 다음 저장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데스크톱 앱에서 파일을 SkyDrive에 저장하려면
Microsoft Office Word(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워드)나 그림판 같은 데스크톱 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일을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바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는 앱에서 저장을 클릭한 다음 왼쪽 창에서 SkyDrive 를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서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입력한 다음 저장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SkyDrive에 자동으로 저장하기
대부분의 PC에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는 Word(워드) 문서, Excel(엑셀) 워크시트 등의 Microsoft Office(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파일, PDF, 기타 문서를 저장할 때 표시되는 권장 위치입니다. PC에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다면 찍는 사진의 복사본을 자동으로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하도록 설정하여 항상 백업할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저장하도록 PC를 설정하려면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 설정을 확인하세요.
- 화면 오른쪽 가장자리에서 안으로 살짝 밀고 설정을 탭한 다음 PC 설정 변경을 탭합니다.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의 오른쪽 아래 모서리를 가리키고 마우스 포인터를 위로 이동한 다음 설정을 클릭하고 PC 설정 변경을 클릭합니다.) - 문서의 경우 SkyDrive를 탭하거나 클릭하고, 기본적으로 문서를 SkyDrive에 저장을 탭하거나 클릭합니다.
- 사진의 경우 카메라 앨범을 탭하거나 클릭한 다음 좋은 화질로 사진 업로드를 선택하거나 최상의 해상도를 원한다면 최상의 화질로 사진 업로드를 선택합니다.
SkyDrive(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한 파일의 보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SkyDrive 파일 보안에서 확인하세요.
출처: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8/getting-started-skydrive-tutorial>
'ICT융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융합의 개념 (0) | 2014.01.23 |
---|---|
ICT 융합 벤치마킹 결과 및 메가트랜드 (0) | 2014.01.17 |
연구사업목표 (0) | 2014.01.03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혁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