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융합

ICT 융합의 개념

□ ICT 융합의 개념

   

[그림 1] ICT 융합의 의미

   

- ICT 융합은 ICT가 상품과 서비스의 본질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유형의 상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고객이 요구하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 것임

   

- ICT 융합은 또한 상품과 서비스 창출 과정(Process)에도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요구하는 해결책 (Solution) 제공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

   

- 이러한 과정을 통해 ICT 융합은 가치창출체계를 변화시키며, 심지어는 기존 시장/산업 내에서 참여자(Player)들 간에 게임의 룰을 변화시키기도 함.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새로운 산업이 창출되기도 함

 

특정 국가에서 상기한 상황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특히 ICT 융합을 위한 이노베이션 플랫폼 및 이를 위한 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임

 

□ ICT 융합의 개념(세부설명편)

ICT 융합의 의미

ICT 융합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 가능함

먼저 Telecommunication 차원에서 보면 예를 들어 [그림 2-1]와 같이 Telecommunication, IT, Media Industry가 융합되어 감

또 다른 유형의 ICT 융합의 의미는 정보화와 비교하면 그 의미가 보다 명확해짐 ([그림 2-2] 참조).

본 과제의 무게 중심은 ICT 융합에 있으며 ICT 융합이란 (정보화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함 ([그림 2-3] 참조)

[그림 2-1] Telecommunication 차원에서 본 ICT 융합 사례

 

[그림 2-2] 기존의 정보화와 비교한 ICT 융합의 의미

[그림 2-3] 타 산업과 융합을 고려한 ICT 융합의 의미

  
 

 

 

여기서 ICT 융합은 일차적으로는 ICT가 상품과 서비스의 본질에 영향을 미쳐 새로운 유형의 상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ICT를 활용한 신규 상품 및 서비스 사례는 [그림 2-4]과 같음

 

[그림 2-4] ICT를 활용한 신규 상품 및 서비스 사례


이는 고객을 위한 가치 창출 (Customer value Innovation) 및 고객 중심의 요구 사항 (Customer base 혹은 driven Innovation)에 기반 함

ICT 융합은 또한 상품과 서비스 창출 과정(Process)에도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는 고객이 요구하는 해결책 (Solution) 제공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함

ICT 융합은 가치창출체계의 변화를 야기하며, 심지어는 기존 시장/산업 내에서 참여자들 간에 게임의 룰을 변화시키기도 함. 이러한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나 산업이 창출되기도 함 ([그림 2-3] 및 [그림 2-5] 참조)

예를 들어 U-healthcare 산업의 경우 기존 의료산업의 가치사슬을 재구성함과 동시에 정보의 비대칭성을 거래하는 시장질서에 있어서 의사, 환자, 정보제공자의 위상과 역할 등이 변화됨 (이광호)

 

[그림 2-5] ICT 융합의 파급효과

 

Process Innovation은 상품 생산 및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효율적인 업무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서비스의 경우 품질이 보다 향상된 새로운 유형의 서비스 창출도 가능하게 함

Process Innovation은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BPR)과 함께 정보화 추진 단계에서 이미 많이 논의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여전히 강력하게 추진할 필요 있음


그러나 최근에는 ICT 활용 방식이 변하고 있음. ICT 활용과 접목의 중심이 Process Innovation을 접목한 정보화를 넘어서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 창출로 이동하고 있음

 

위에 논의된 두 가지 유형의 ICT 융합은 [그림 2-6]과 같이 종합할 수 있음

 

[그림 2-6] ICT 융합 유형

  
 

 

 

상기한 두 가지 유형의 ICT 융합이 연계되어 일어날 경우 그 변화의 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임

 

포괄적인 ICT 융합 정책 대상은 [그림 2-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 분야로 나눌 수 있음

포괄적인 ICT 정책에 있어서는 [그림 2-7]에 분류된 세 분야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

현재 시점에서 ICT 융합 관련 업무의 담당 부처는 [그림 2-8]과 같이 여러 부처가 유사한 업무를 함께 담당할 수밖에 없으므로 부처 간의 업무분장 및 협력이 특히 중요함


[그림 2-7] ICT 융합 정책 대상

 

[그림 2-8] ICT 융합 관련 업무 담당 부처

 

ICT convergence from Telecom Perspective ([그림 2-1] 참조)는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음

ICT 융합 정책에서 다루는 내용의 핵심은 상품과 서비스의 Disruptive (Offering) Innovation, 즉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 창출에 초점을 둠 ([그림 2-3] 참조)